본문 바로가기
이슈&이벤트

전기차 ''급발진''주장 인도 돌진 사고 후 견인기사 감전 /자동차 급발진 대처 방법

by 사라매 2024. 4. 7.
반응형

 

전기차 급발진 사고현장
전가치 급발진 사고현장 <출처>iMBC

급발진 주장 전기차 인도 돌진 및 견인기사 감전 사고 발생

2024년 4월 5일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에서 SUV 차량이 인도로 돌진, 이 사고를 수습하던 견인 기사가 감전당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날 오후 5시 경 고양시 일산동구의  한 체육센터 주차장에서 나오던 전기차가 갑자기 돌진해, 주차 차단기와 자전거 거치대를 들이받았습니다.  운전자인 40대 여성은 경찰 조사에서 차량 급발진을 주장했으며,  부상은 경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고 발생 후  수습을 위해 해당 전기차에 탑승했던 견인 기사 40대 남성이 감전을 당해 병원으로 이송되었습니다. 남성은 차를 캐리어로 이동시키기 위해, 기어를 중립에 놓으려 시동 버튼을 누르려던 순간 감전돼 쓰러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근 병원으로 이송되어 중환자실에 입원한 남성은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반응형

 

전기차는 환경에 이로운 에너지원을 연료로 한다는 점과 테슬라로 대표되는 신기술의 첨단에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의 인기를 끌어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충전인프라 문제라든지, 보조금 지원 중단 등으로 인해 순수 전기차 보다는 하이브리드 차량을 구입한다든지, 구입 시기를 늦추고 있는 실정입니다. 

 

게다가 급발진 문제까지 불거져 전기차의 앞날에 우려가 되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되는 점들을 하나하나 짚어 고쳐나가는 과정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가지고, 더 완성된 전기차를 만들어 내기 위한 과정으로 삼는 의견들도 분명 존재합니다.

 

반복되는 급발진 사고 현상과 원인

 

급발진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출력이나 속도를 내는 것을 급발진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공학적으로 정확하게는 '의도치 않은 가속력'이라는 표현이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급발진은 전자장치의 오류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위 사고와 같은 전기차의 경우도, 전자장치의 오류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많은 전력이 공급되어, 모터의 회전 수가 운전자의 의도보다 빨라지는 경우가 발생하여 급발진 의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연기관차에서는 연료를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필요 이상으로 많이 공급해 주게 되면  출력이 높아지게 되어 급발진 의심현상이 발생하게 될 수 있습니다. 이때 내연기관 자동차의 경우는 빠른 속도로 엔진 RPM이 상승하여, 연료의 불완전연소가 발생하므로 머플러 쪽에서 하얀 연소가스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이 외에도 운전자의 당황으로 인한 페달 조작 실수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가속페달 고착 ▲가속페달 바닥 매트 걸림 ▲외부 물체(물병, 신발, 물티슈 등) 끼임으로 가속페달이 복귀되지 않는 경우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급발진 사고 대처법 안내

 

원인을 제거할 수 없다면 차선책은 운전자 스스로 사고를 예방하고 사고를 최소화하는 것밖에 없을 것입니다.

한국교통안전공단에서는

  • 페달 오작동을 막기 위한 운전석 정리 정돈
  • 엑셀러레이터와 브레이크를 혼동하지 않도록 두 발로 브레이크 페달 밟기
  • 변속 기어 중립(N)으로 변경
  • 시동 끄기
  • EPB 적극 활용

을 권고했습니다.

 

 

급발진 사고 대처 EPB적극 활용

한국교통안전공단이 15개 제작자의 364개 차종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을 펼친 결과, 이 중 최적의 대응 방식은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EPB란 ‘P’라고 적힌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스위치)로, 이전 내연기관차의 ‘사이드브레이크’ 역할을 맡고 있는 장치입니다. 변속기의 ‘P단’ 또는 발로 밟는 ‘기계식 주차 브레이크’와 별개이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탑재한 이중 장치입니다.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출처>한국교통안전공단

 

공단이 EPB 활용을 강조하는 이유는 가장 빠르고 쉽게 대처할 수 있어서라고 볼 수 있습니다. 

EPB의 경우는 기계식 브레이크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합니다.  브레이크 페달이 말을 듣지 않더라도 활용할 수 있는 예비장치라는 얘기죠.

 

또한, 제조사마다 위치가 다를 수는 있으나 EPB는 운전자 손에서 가까운 곳에 위치해, 즉각적으로 활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습니다.

 

사고가 나지 않는 것이 최우선이겠죠.  하지만,  만일의 경우를 대비해 대비책들을 알아두면, 더 침착하게 조치들을 활용할 수 있겠습니다.  모두 안전운전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