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전기차 화재
충남 금산의 기아 EV6 전기차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당시 차량은 주차타워 내에 주차된 상태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의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메르세데스 -벤츠 EQE 전기차의 화재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한 데 이은 화재사고로, 전기차로 인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전기차 충전시설 관련 규정과 문제점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은 전기차 충전 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100 가구 이상의 신축 아파트는 총 주차 대수의 5%, 기존 아파트는 2%에 해당하는 시설을 설치하도록 정한 것이다.
하지만, 설치 위치나 충전시 환경에 대한 규정 등은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주거 공간에서 아파트의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는 지하주차장에 전기차 충전기를 많이 설치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인천에서 발생한 화재에서 볼 수 있듯, 지하주차장에서의 화재는 많은 피해를 낳게 될 우려가 있다.
최근의 폭염환경 또한 전기차의 화재를 촉발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배터리 열관리는 통상적으로 25~35도에 맞춰져 있는데, 현재와 같은 폭염상황에서는 적용되지 못해 배터리 내부 온도가 치솟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실은 지상에서 충전하는 것이 완벽한 대책이 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
전기차 화재 방지를 위한 대책
전기차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충전시 100% 완충하지 않기를 권한다.
또 급속 충전기보다 완속 충전을 하는 것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충전하고 배터리 수명을 연장한다고 강조했다.
완속충전기로 85%까지만 충전한다면 열폭주나 덴드라이트(리튬이 음극 표면에 쌓여서 만들어지는 결정체)등에 의한 전기차 화재를 막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급속 충전기의 경우 80% 수준에서 충전이 멈춰지는 장치가 달려 있지만, 완속 충전기의 경우 그렇지 못한 점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정부가 현재 완속 충전기에 과충전 방지 장비룰 탑재할 때, 1대당 40만 원의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전에 보급된 31만 대의 경우 이러한 장치가 미비하다.
전문적인 시설 관리가 가능한 지상충전소 설치
이러한 내용들을 차주들이 일일이 신경써 지키기는 쉽지 않다.
단시간에 충전이 완료되지 않는 현재 전기차 충전방식에,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차주들을 지치게 하는 일면이다. 그래서, 케이블을 차에 꽂아둔 채 차를 벗어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복잡하고 귀찮게 느껴지다 보니, 점점 전기차의 수요가 줄어드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의 주유소처럼 전기차 충전소가 마련되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중국에서 확산되고 있는 배터리 교체방식(스왑스테이션)의 충전시설 설치도 대안으로 등장한다.
설치비가 많이 들어 쉽게 시작되지 못하지만, 빠른 교체시간이나 배터리 상태가 지속적으로 관리된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는 것이다.
관련글
2024.06.13 - [이슈&이벤트] - 우리나라에서 전기차 배터리도 갈아 끼운다/현대차-LG엔솔 뭉쳤다.
'이슈&이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챗GPT, 라마3.1 등의 LLM 관련 개념 정리 (0) | 2024.07.28 |
---|---|
페이스북 메타, GPT-4o대항마 라마(Llama)3.1 출시 / 라마3.1 사용법 (0) | 2024.07.24 |
도널드 트럼프, 바이든 인지력 검사 요구/ 인지력 검사와 종류 (0) | 2024.07.13 |
강원도 화천군, 소상공인 시설 현대화 지원. 최대 1천600만원 가능 (0) | 2024.07.07 |
신생아특례 디딤돌 대출 대상, 금리, 신청방법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