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야기들

노후 자금 관리 펀드 TDF(타깃데이트펀트) 폭풍 성장

by 사라매 2024. 7. 14.
반응형

 

TDF(Target Date Fund)는 은퇴준비펀드로, 투자자의 은퇴시점에 맞춰 생애주기별 자금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투자대상을 조정하는 연금상품이다. 젊을 때는 공격적 투자 대상에 대한 자산비중을 높였다가, 은퇴시점이 가까워질수록 안정형 자산에 대한 투자를 늘려가는 식이다.

 

 

TDF펀드

 

타깃데이트펀드(TDF) 광폭 성장 

시중의 타깃데이트펀드(TDF) 총설정액이 10조 원을 넘겼다

노후 자금 마련을 목적으로 하는 TDF가 지난 8년 동안 160배가 넘는 성장을 한 것이다. 

 

펀드 평가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2016년 말 TDF 설정액은 663억 원에 불과했지만, 2020년 말 4조 844억 원, 2023년 말에는 9조 4천883억 원에 달했다. 

2024년 7월 11일 설정액이 10조8천96억원을 기록해 10조 원을 넘겼다. 

2016년부터 2023년  기간 동안의 연평균 성장율은 161%에 달하고, 2016년 이후 설정액이 163배 증가한 것이다. 

 

TDF의 특징

 

TDF는 목돈이 필요해질 '은퇴 시점'을 'Target Date'로 정하여, 생애주기별 상황에 맞춰 투자 대상을 변동하는 방식으로 운용한다. 

투자자가 굳이 자산 배분에 신경쓰지 않아도 생애주기에 맞게 수익성과 안전성을 공략하는 방식으로, 이런 장점 덕에 미국 퇴직연금에서 가입자가 많은 상품이다. 

 

국내에서도 가입자가 투자방향을 선택하는 방식인 확정기여형(DC) 퇴직연금 규모가 큰 폭으로 증가해, 앞으로도 TDF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특징에 따라, TDF의 단점도 나타난다. 

기존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맞춰 자산을 운용하다 보니, 시장 상황에 어긋나는 자산배분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식시장이 약세장이어서 손실이 커진 상황인데 '매도'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TDF 특유의 장단점을 고려해 가입여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TDF의 주요개념 '빈티지'와 '샤프 지수'

'빈티지'는 투자자의 퇴직 연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빈티지 2040'이라는 건 2040년이 투자자의 은퇴시점이고, 이 시점에 맞춰 수익률 관리를 하도록 펀드가 설계되었다는 뜻이다.

 

'샤프 지수'는 투자 위험을 감수할 때 성과가 얼마나 나는가를 측정하는 지표다.

다시 말해 위험 대비 수익을 뜻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TDF가 나중에 좋은 성과를 낼 가능성이 크다.

 

에프엔가이드에서 시중 자산운용사의 TDF를 전체 빈티지 모음(시리즈)으로 정리한 후, 최근 1년간 샤프 지수의 평균을 산출한 결과에 따르면,  '한국투자 TDF 알아서 ETF포커스' 시리즈가 2.41로 가장 수치가 높았고, 그 뒤를 '미다스 기본 TDF' 시리즈(2.09), 'NH-아문디 하나로 TDF' 사리즈(1.96) 등이 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샤프 지수는 개별 빈티지마다 달라진다는 점도 유의하여, 상품가입 시 꼼꼼히 확인하여야 한다.

반응형